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80315_산업레포트
    카테고리 없음 2018. 3. 16. 14:22

    - 자동차

    + 중소형부품사 4분기 실적정리 (한국)

    1) 사드와 환율의 이중고를 겪는 중소형부품사들, 주요 43개 업체 실적 취합 결과 합산 매출 yoy -16%, 영업이익 yoy -89%

    2) 각자도생의 시기, 중국에서 부품사들은 중국로컬업체 부상에 따른 물량감소, 원화절감에 따른 단가 인하, 그리고 저가부품확대에 따른 믹스악화라는 3중고에 직면하고 있음

    3) 고객사 다변화 정도가 낮고 중국 이익의존도가 높은 중소형부품사에 더욱 크게 다가올 전망

    4) 고객사 다변화와 애프터마켓 기반 갖춘 업체들 주목(우리산업, 상신브레이크, 새론오토모티브, 세방전지, 아트라스BX)


    + 소진되고 있는 미국 재고 (이베스트)

    1) 인내가 요구되는 시간: 재고수준이 내려온 후부터가 본게임, 3Q18 전후까지 추가적으로 재고소진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 실적회복 구간은 3Q18부터 서서히 수면위로 드러날 것으로 판단, 하반기 비중확대전략 추천

    2) 미국 재고, 여전히 4개월~4개월 후반으로 고통스럽지만 개선중, 이를 소진시키기 위해선 구형 승용차 위주 감산, 신규투입차종 흥행 조건 만족해야하는 상황

    3) 주가의 함수는 미국판매실적, 미국판매실적은 재고와 인센티브의 함수, 당사는 완성차 주가 반등의 유일한 조건으로 미국시장의 판매증가를 지목


    + 타이어: 올해 판가 인상 효과 기대보다 낮을 전망 (유진)

    1) 1분기 수출 단가와 고무 가격 상승, 변동성은 축소

    2) 판가 인상에도 불구하고 구조적 이익 레벨은 하락, 올해 판가 인상 효과가 온기로 반영됨에도 불구하고 2015년 대비 스프레드는 축소됨, 환율을 감안하면 2018년 평균 수출 단가는 2015년 대비 3.8% 하락

    3) 가격 조건이 안정화되는 시점에 주의, 연초 시적 부진이 연간 실적에 대한 기대치 하향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을 것으로 판단, 타이어 업종 투자의견 중립 유지



    - 금융

    + 증권: BK, IB, WM 3관왕 달성 (한국)

    1) 포문 열어준 브로커리지(BK), 올해 일평균 거래대금 13조원으로 전년대비 44% 증가할 것

    2) 브로커리지 호황, IB와 WM 수익 확대로 연결, 증시상승이 고객자산 증가 및 IB 딜 활성화로, 금융상품 진화는 증시상승과 IB 영역 확대로 이어짐

    3) 탑픽: 키움증권과 NH투자증권



    - 철강/금속

    + 중국 1~2월 수요/생산 지표 점검 (대신)

    1) 업종 투자의견 중립 유지, 중국 철강가격 올해 추가 상승세가 제한될 것이라는 기존의 시각 유지

    2) 중국 1~2월 철강 수요지표는 엇갈림, 전반적인 경기지표는 양호했지만 부동산은 둔화,  철강수요 비중이 가장 큰 부동산 지표는 작년 하반기 이후 둔화세가 지속되고 있어 최근 2년간 양호했던 철강수요 모멘텀이 점진적으로 둔화되고 있음을 시사

    3) 중국 1~2월 철강 생산지표는 급증, 정부의 감산명령에도 실행률은 기대 이하, 2016년 이후 중국 중앙정부의 구조조정 노력에도 철강사들의 수익성호조가 꾸준한 생산증가로 연결되고 있어 실제 구조조정 여부는 확인이 여려움

    4) 결론: 단기적으로 철강 가격에 긍정적, 단 길게 보면 올해 철강가격 상승기대치는 낮춰야.



    - 건설

    + 반가워 토목 (신영)

    1) 지자체, 토목 발주를 이끈다, 중앙정부는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 지자체 및 공기업 주도의 국토개발을 지향하고 있음

    2) 실제 정부의 SOC 예산은 축소되었어도, 지자체와 공기업의 SOC 예산은 견

    조하게 유지된 바 있음

    3)  앞으로 도시재생뉴딜정책과 공적주택 공급 등 지자체 주도의

    다양한 토지 개발이 실시될 것으로 보여 건설사들의 수혜가 예상됨

    4) 대형건설사 현대건설, 현대산업, 우량 지방건설사 서한, 태영건설, 금호산업, 계룡건설

    5) 지방중심의 토목시장 성장은 기존의 주택 시장 침체로 인해 출하량 절벽을 우려했던 시멘트 업종의 우려를 일부 완화시켜줄 것

    6) 쌍용양회, 아세아시멘트 각각 최선호주와 차선호주 추천



    - IT

    + 디스플레이: 산업이 어두울 때, 빛을 발하는 기업 (현대차)

    1) 침체된 업황 속, 투자 관점에 대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

    2) 투제전략 제시: 수직적 방식(중화권 POLED,LCD) + 수평적 방식(다양한 고객사와 포트폴리오), 당사는 단일 Value Chain 수혜 업체들만을 찾는 방식보다는, 좀 더 다양한 고객사와 포트폴리오로 실적이 우상향하는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기업 추천

    3) LGD는 Capex가 WOLED, PLOLED에 분산 / SDC는 Capex가 올해를 저점으로 내년부터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중화권 업체들은 공격적인 Capex 집행을 진행할 것으로 봄

    4) Top pick은 DMS(068790) 제시. 커버리지 기업으로 LG디스플레이(034220), 실리콘웍스(108320), AP시스템(265520)를 제시함. 투자추천 강도는 DMS > AP시스템 > 실리콘웍스 > LG디스플레이 순


    + 하반기 LCD 중저가 아이폰 우려감 (삼성)

    1) 투자 의견: 아이폰 서플라이체인의 저점 매수는 아직 이르다고 판단, 기계적인 저점 매수 지양, 하반기 고가 아이폰(OLED) 화갣로 방향이 바뀌는지를 감지하는 것이 중요(5월 애플 OLED 패널 주문 시기, 6월 WWDC 에서 변화에 대한 힌트 얻을 것이라 기대)

    2) 아이폰X의 판매는 당사 부정적 예상보다도 부진, 2018년 아이폰X(OLED구제품) 판매 전망을 4,800만대에서 2,300만대로 하향

    3) 올해도 Tech 중심 화두는 OLED 아이폰의 판매, 올해 하반기 LCD 아이폰 판매 비중 확대는 Tech 수요 전반에 걸친 하향 조정 의미

    4) LG이노텍 HOLD 의견 유지



    - 제약/바이오

    + 2월 관세청 의약품 수출 실적 (KTB)

    1) 2월 관세청 의약품 수출액 YOY +3%, MOM -33%로 부진

    2) 2월 바이오 의약품 수출액 YOY +6%, MOM -28%로 역신장

    3) 2월 보툴리눔 독소 수출액 YOY -23%로 15.9월 이후 첫 역신장, MOM으로도 -55%로 부진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