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80221_산업레포트
    카테고리 없음 2018. 2. 22. 00:16

    - 미디어/엔터

    + 영화: 뚜렷해진 방향성 (한화)

    1) 4Q17 국내 극장사업(CJ CJV, 제이콘텐트리) 레버리지 확인, 2018년 수익성 개선의 해(수요성장+비용절감+기저효과+경쟁완화)

    2) 뚜렷해진 방향성, 글로벌 vs. 방송콘텐츠, CJ CGV 해외 영업이익 비중이 절반을 차지하게 되었음, 5년간의 투자가 숫자로 현실화되는 구간

    3) 제이콘텐트리는 JTBC와 시너지 창출이 가능한 방송/콘텐츠 부문을 강화하고 있음, 여전히 타사대비 현저한 저평가 영역으로 리레이팅 아직도 진행형



    - 운송

    + 금리와 운송 (신영)

    1) 금리와 연관성 높은 섹터 '운송', 타인자본으로 운송기재에 투자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산업, 금리상승은 곧바로 비용증가 요인이 됨

    2) 2017년 미국 연준은 3회에 걸친 금리인상 단행, 2018년 3회 또는 4회에 걸친 금리인상 예고

    3) 비용증가요인보다 강한 수요성장세를 보여주며 경기민감주인 운송업체들 실적개선 이끔

    4) 해운업: 금리인상 시기에 시장보다 세게 움직인다 / 항공업: 3저 수혜주, 경기회복 저해하지 않는 수준의 금리와 동행

    5) 최선호주로 대한해운 추천, 항공업은 지속적인 외형성장을 보여주는 저가항공사의 높은 밸류에이션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 진에어 신규 커버리지 개시하며 최선호주 추천



    - 기계

    + Vale의 신고가가 주는 의미 (KTB)

    1) 브라질 광산업체 Vale 52주 신고가 경신

    2) 최근 미국 국채금리 급등으로 글로벌 증시 조정 발생, 글로벌 광산업체의 주가는 증시 조정 이후 빠르게 회복

    3) 미국 중장비 업체 Caterpillar의 자원개발용 장비 판매 호조, 2017년 4분기부터 yoy 판매증가율 빠르게 반등

    4) 2018년에는 글로벌 경기 개선, 주요국 인프라 투자 증가에 따라 산업금속 수요와 광산활동이 호조 보일 것으로 전망

    5) 중대형 굴삭기 수출 비중이 높은 현대건설기계와 두산인프라코어의 수혜 기대, 리플레이션 트레이드 기조 강화



    - 자동차

    + 타이어: 1월 타이어 수출 yoy +25% (이베스트)

    1) 1월 국내 타이어 수출 2.3억불(yoy +25%) 증가, 5년만에 최대 실적 기록

    2) 국내 타이어 업체들에 대한 긍정적 시각 유지, 금번 1월 수출지표는 1Q18 볼륨상승, ASP 증가분 적극반영 등의 효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

    3) 국내공장 수출물량 판매지는 세계 최대 시장인 유럽과 미국

    4) 동 지역내 생산거점을 갖추고 있는 한국타이어의 차별화된 실적 기대



    - IT

    + 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의 QD-OLED 관련 코멘트 (NH)

    1) 20일(한국시간) 국내 언론에 따르면 SDC가 TV패널 기술로 QD-OLED를 개발하고 있다 보도

    2) 그러나 당사는 현 시점에서 SDC가 TV용 QD-OLED 기술 하나를 두고 선택에 놓인 기업이라고 판단하지 않음(LCD, QD, QD-OLED, Micro LED등 포함 다수이기 때문)

    3) SDC의 TV용 OLED 패널 투자 전망에 대해서도 냉정한 접근이 필요


    + 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OLED TV 시장 진입 가시화 (하이)

    1) SDC OLED TV제품 출시 시기는 2021년으로 예상

    2) 시장 선두 주자인 LG디스플레이와 관련 장비, 소재 업체에 주목, 현재 OLED TV 패널을 생산하는 업체는 LGD가 유일

    3) 증착기 및 물류 설비(에스에프에이), Glass 봉지 설비(AP시스템), Oxide TFT용 열처리 장비(테라세미콘), Auto Clave 및 VDO 열처리 장비(예스티), 전공정 검사 장비(HB테크놀로지), HTL 소재(덕산네오룩스)


    + 디스플레이: 물 들어올 때 노 젓기 (한국)

    1) LG디스플레이 장비 supply chain을 사자, 광저우 OLED TV패널 라인과 10.5세대 라인을 동시에 투자해 2018년 역대 최대 규모인 9조원 투자

    2) 이에 대형 OLED 제조장비 공급 업체(야스, 아바코), 10.5세대 장비 공급 업체(DMS), 초고화질 패널 생산에 필요한 열처리 장비업체(비아트론)의 수혜 예상

    3) 삼성디스플레이향 수주 모멘텀 둔화, 중국 패널업체향 수주가 지속되는 업체(에스에프에이, AP시스템)는 관심을 가질 필요 있음, 장비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한 업체(테라세미콘)도 SDC 투자 감소 일부 만회할 수 있을 것



    - 화학

    + 유가 하락전환 불가피, 정유 및 Hybrid 중형주 관심 가지세요 (교보)

    1) 국제유가: 상방 요인보다 하방 요인이 큰 상황, 하락 전환 불가피 판단

    2) 상반 요인은 중국 원유 수입량 급증 & 미국 WTI 선물 순매수 사상 최고 / 하방 요인은 미국 원유 생산량 급증 & 미국 휘발유·원유 재고 증가

    3) 중국 원유 수입량 급감시에는 유가 급락 가능성도 배제 못해

    4) 투자 전략: 정유 및 Hybridchem 관심, SK이노베이션/코오롱인더/롯데케미칼 추천

Designed by Tistory.